보존적 치료 및 보철 치료

보철물의 효과

외상으로 인해 치아가 깨지거나, 신경치료 후 자연치 보호를 위해 씌울 때, 잇몸 질환으로 치아가 빠졌을 때 이를 대체하기위해 보철치료가 필요합니다. 보철치료는 ‘보기 좋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1. 손상된 치아의 저작력 회복으로 소화력 증진
2. 앞니의 상실시 예상되는 발음이 부정확 개선
3. 손상된 치아 사이에 끼어 발생할 수 있는 충치를 예방
4. 치아의 상실로 인해 비어있는 방향으로 쓰러지는 쏠림 현상 방지

보철의 종류 -치아 상태

• 인레이 :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씌어주는 치료.
• 크라운 :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씌워 주는 치료.
• 브릿지 : 상실된 치아의 기능 회복을 위해 양 옆의 치아를 이용해 ‘다리를 걸어주는’ 치료.

레진 또는 GI(글래스 아이노머) 를 이용한 치료술

충치가 발생하면 충치가 더 커지지 않도록 깨끗이 갈아낸 후 다른 재료로 메워서 원형을 회복하는 충전 치료를 하는데 충치의 진행이 많이 안되었을 때 가장 먼저 고려해보는 재료입니다.

레진‘ 충전은 크기가 작고 중간 사이즈의 충전물로 저작력에 잘 견디며 부서질 우려가 없고, 치아 삭제량이 적은 편이어서 보존적 치료에 적합합니다. 힘을 많이 받는 어금니보다 앞니 쪽의 간단한 충치 치료에 많이 사용됩니다. 단 치료 후 시간이 지나면 착색의 우려가 있고 깨지거나 닳는 경우가 생긴다는 게 단점입니다.

글래스 아이오노머‘는 불소를 방출하므로 충치 빈도가 높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저작력에 약하고 잘 부서집니다.

금 또는 세라믹 인레이, 온레이 (Inlay, onlay)

전체가 아닌 부분적으로 씌어주는 치료입니다.

치아색 인레이/온레이‘는 심미적인 효용성이 높고 비교적 중간이나 큰 크기에 적당하지만 금보다는 손상 위험이나 변색 가능성이 큽니다.

세라믹 인레이/온레이‘는 다른 재질에 비해 심미적으로 투명도가 뛰어나고 강도가 치아 법랑질보다 강하지만 반대편 저작력이 센 경우에는 부서질 수 있다.

금 인레이/온레이‘는 부서질 위험이 없고 잘 닳지 않으며 치아 법랑질과 강도가 가장 유사하므로 치아 삭제를 비교적 적게 할 수 있다. 치료 후 충치가 재발률도 충전 재료 중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치아 색과 같지 않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변색과 착색도 잘 되지 않고, 기능적으로만 볼 때는 현재로서는 가장 우수한 충전 재료로 꼽힌다.

전체 씌우기 / 보철의 종류 - 재료

골드(Gold) – 금으로 보호하기

prosthetics2연성, 전성이 있어 씹는 힘을 견디기에 충분하며, 생체 친화성이 가장 좋으며, 자연치아의 표면과 거의 같은 마모율을 가지고 있어 다른 치아가 많이 마모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말하거나 웃을 때 보일 수 있어서 최근에는 심미적인면 때문에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PFM(Porcelain Fused Metal) – 금속과 사기로 보호하기

내부는 금속, 겉면은 도자기 재질로 이 두 가지 재료를 붙여서 만든 재료입니다. 보철의 내부가 금속 재질이기 때문에 자연 치아에 비해 탁한 색을 띠거나 시간이 지날수록 잇몸과 인접된 부분으로 색이 비치거나 검은 선이 생길 수 있습니다.

PFG(Porcelain Fused Gold) – 금과 사기로 보호하기

겉은 치아색과 동일한 도자기로 되어 있고 속은 금으로 되어 있어 강도가 세고 수명이 깁니다. 특히 알러지 반응이 없기 때문에 잇몸 건강에 좋고 주로 어금니 재료로 많이 사용합니다. 최근에 높아진 금값 때문에 잘 추천되지는 않습니다.

지르코니아(Zirconia)

prosthetics1지르코니아란 인공 다이아몬드로 불릴 만큼 강도와 투명도가 높은 신소재입니다.  통상적으로 심미성 위해 전치부는 올세라믹(지르코니아 캡 + 포세린), 구치부위는 통지르코니아를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심미성 부분이 많이 개선이 되어서 전치부위도 지르코니아가(지르코니아 캡 + 지르코니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료출처: 덴티움

각 보철물의 비교

치관 확장술에 대해

치관 확장술(Crown Lengthening Procedure) 은 충치나 부러진 치아을 살리기 위한 술식입니다.

치관 확장술은 잇몸만 내리는 술식이 아닙니다.  동시에 뼈도 함께 내려야 합니다.

이유는 최소 잇몸와의 거리가 3mm-5mm 정도 떨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biologic widthsulcus(치은 열구) 두 길이를 합한 값입니다.

1images

이 길이가 확보되지 않으면 우리의 몸은 그 길이를 스스로 만들려 하기 때문엔 해당 부위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1. 만성 통증

2. 잇몸의 만성 염증

3. 예측 불가능한 뼈의 흡수